감동이 넘치는 새 생명의 탄생 행복이 가득한 건강한 미소

  • 산부인과
  • 산과클리닉
  • 태교
  • 태교의의미

태교

감동이 넘치는 새생명의 탄생 행복이 가득한 여성의 건강한 미소

태교의 의미

태교의 의미

태교는 태내교육 혹은 태중교육의 약자로 태아를 한 인격체로 인정하고 존중하며 정신과 육체는 양분될 수 없는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하는데서 시작됩니다. 임신 중 자궁내의 환경적 요소가 태아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태아에게 보다 편안하게 태내 환경을 만들어 주는 방법을 모색하는 이론입니다.

태교란, 임신 중에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임산부가 언행을 삼다는 일로, 태아를 건강하게 보살피기 위한 엄마 되기를 뜻합니다. 태아에게 훌륭한 안식처인 동시에 올바른 인격을 물려받는 배움터라 할 수 있습니다. 새 생명에 대한 존엄성과 책임감을 깊이 인식하고 자신의 몸 속에서 한 인간으로 형성되어 가는 아기의 존재를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으로 느껴야만 합니다.

임산부가 좋은 환경에서 기분 좋은 생활을 하고 있다면 호른몬의 분비도 원활해서 태아도 기분 좋게 자라게 되고, 임신 중인 어머니의 시각적, 청각적 감성들이 태아에게 전해짐으로써 태아가 태어나면서부터 어떤 지적인 능력, 적어도 그 소질을 갖추게 되는 것입니다.

그서양에서는 산전훈련의 개념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태교의 방법론을 보면 서양에서는 주로 산모의 육체적인 건강을 강조하여 육체적으로 건강한 태아를 자라게 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는 반면, 동양에서는 주로 임부의 정서와 태도를 통하여 태아가 건강한 아이로 자랄 수 있도록 교육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동양태교는 정적인 눈에 보이지 않는 결과를 추구하고, 서양태교는 주로 동적인 눈에 보이는 경과를 추구한다고 할 수 있지만, 최근에 근접한 연구와 동서양을 접합한 연구들에 의하면 그 근본적인 바탕에 깔려 있는 본질은 같다고 여겨집니다.

전통적 의미

어느 부인이 자신의 귀여운 아기를 안고 유명한 철학자를 찾아가 “이 아기를 잘 키우려면 언제부터 교육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철학자는 그 아기를 바라보면서 “벌써 두달이 된 듯한데 아무 것도 가르치지 않았습니까? 늦었습니다. 아기를 제대로 키우자면 부인은 결혼하기전 즉 배우자를 선택할 때부터 키워야 합니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태교는 태아를 한 인격체로 인정하고 존중하며 정신과 육체는 양분될 수 없는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태교에 대한 기록으로 3천년 전 중국의 고전 의학서인 <황제내경>을 비롯하여 <사기>, <열려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태교에 관해 집대성한 서적은 <태교신기>로 1800년대 우리나라에서 사주당 이씨와 그의 아들 유희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중국의 영향을 받은 태교와 우리 고유의 태교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태교신기>의 기록을 보면 “아버지가 낳고, 어머니는 기르고, 스승이 가르치는 것은 모두 하나의 일이다. 명의는 병이 생기기 전에 미리 다스리고 잘 가르치는 자는 태어나기 전부터 시작한다 하였다. 그런즉 태어나서 받은 스승의 10년 가르침보다 어머니의 뱃속에서 열달 동안의 기름이 낫고, 어머니의 열달 가르침보다 아버지의 낳음 하루가 더욱 중요하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수태시의 정자상태와 남편이 임부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태아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 모성태교는 물론 부성태교의 중요성까지도 일찍이 파악하고 있었음을 알게 합니다. 기록에는 “임부와 태아는 혈맥이 붙어 있어 어미가 숨쉼에 따라 아기가 움직여, 어미의 기쁘고 성내는 것이 태아의 성품이 되고, 보고 듣는 것이 태아의 기가 되며, 마시고 먹는 것이 태아의 살이 되나니 어미된 이가 어찌 삼가지 아니하리오. 임부는 이 오묘한 진리를 잘 알아 태교를 중히 하라.”라고 하였습니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태교의 내용과 방법에는 정령설에 의한 금기 음식물등 일부 비과학적인 명이 없지 않지만 그 근본 의미는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태교는

첫째 용모나 재주가 뛰어난 아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좋은 원인을 만들어 가는 전인적인 노력으로 성성을 다하는 것이며, 둘째 자손을 건강하게 잘 낳은 것은 지어미의 도리라는 것 셋째 사람의 성품은 하늘을 근본으로 태어남으로 부모로부터 받은 잘못된 기질이 그 성품을 가리지 않도록 늘 조심하는 태도입니다.

현대적 의미

태아 교육과 관련한 학문적 기초는 20C 오스트리아 신경과 의사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드에 의해 <출생전 심리학>이 발표되면서 부터입니다. 이후 1960년대 중반에 와서 의료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태아는 “듣고, 이해하고, 느끼는 존재”라는 사실을 여러 의학자들이 증명해 내었습니다.

얼마전 국내 신문마다 과학전문지 <네이처>의 보도를 인용하여 태내 환경이 지능을 좌우하는데 중요하다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인간의 지능지수(IQ)를 결정하는데 유전자의 역할 비율은 48%이고, 태내 환경이 52%를 차지하며, 태내에서의 충분한 영양공급과 평안한 마음, 유해물질 차단 등 전통적인 태교요인들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사람의 자질 형성에는 중요한 두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하나는 유전인자이고 또 하나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입니다. 유전인자는 타고나는 것으로 현재로는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적응은 처한 환경, 조건, 교육 등에 따라서 자신을 변화시켜 순응하는 능력입니다. 이것이 바로 교육의 효과를 일으키고 문화의 발달을 지속 시켜온 요인입니다. 인간은 수태 시부터 환경과 경험에 따라 적응이 이루어지고 이 적응의 결과가 다시 자식에게 유전되어 현재의 인간으로 진화되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토마스 바니는
“모체와 태아의 연결 회로”를 다음 3가지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 ① 심리적 방법으로 모체의 감정변화에 따라 태아의 성장 곡선이 영향을 받는데 안정상태에서 가장 성장이 좋다.
  • ② 생리적 방법으로 모체의 식사, 환경, 스트레스로 인한 태아의 영향이다.
  • ③ 행동적 방법으로 모체의 행동, 습관이 태아의 일생에 걸쳐 영향을 준다

 

quick menu

  • 진료안내
  • 클리닉
  • 질문답변
  • 이용안내

top



  • 보건복지부 지정